1 분 소요

이번 포스트는 하기 Google Developer Exports의 내용을 번역(의역) 및 저의 의견을 기술한 내용입니다. 이는 Flutter 공부뿐만이 아닌 개발자로서의 발전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침이라고 생각합니다.

Google Developer Exports

1. 사전에 OOP 개념은 꼭 공부합시다.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네이티브 개발 경험이 없더라도 Flutter를 공부할 수는 있지만, OOP 개념을 알지 못한다면 Flutter를 공부하기는 정말 어려울겁니다. 하지만 네이티브 개발 경험이 있을 경우 Flutter를 공부하는데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물론 OOP의 개념을 알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Flutter, 네이티브를 통한 앱 개발에 문제는 없다. 단, 보다 높은 개발자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 OOP는 필수이다.

2. 튜토리얼 영상 시청 또는 도서(문서)등을 단지 읽지만 말고 꼭 직접 빌드까지 합시다.

단지 튜토리얼 영상을 시청하고 문서를 읽기만 해서는 유능한 개발자가 될 수 없습니다. 개발자들은 이 부분에서 일반적인 실수를 저지릅니다. 영상과 도서를 통해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작은 프로젝트라도 꼭 직접 빌드까지 해야 한다.

3. 튜토리얼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코딩을 하지 맙시다.

3~4개의 비디오를 시청한 뒤 반복해서 코딩하세요. 만약 시청과 동시에 코딩을 할 경우 물론 튜토리얼 영상을 통해 코딩을 한 경우에도 Flutter를 배웠다고 느낄 수 있지만, 얼마되지 않아 자신의 앱 개발을 할 수 없음을 인지하게 된다.

4. 무엇을 개발(빌드)하던지 GitHub등의 저장소에 업로드 합시다.

단순히 카운트를 증가시키는 앱을 개발하더라도 GitHub에 업로드를 하면서 진행합니다. Flutter를 통해서 Git에 대해서도 숙달할 수 있습니다. 이느 나중에 협업을 진행할 때 필수적인 항목이므로 사전에 지식을 습득하는게 좋다. 먼저 GitHub계정을 생성하세요.

5. 어떤 위젯을 사용하던지 충분히 이해를 합시다.

Flutter 수없이 다양한 위젯을 제공합니다. 사용하는 위젯에 대해서 충분한 조사 및 습득이 필요한다. 예를 들어, MaterialApp, Scaffold는 왜 사용하는지? MaterialApp없이 앱을 만들수 있는지? 이를 통해 특정 위젯을 좀 더 이해하게 되며, 위젯 사용에 있어서 확신을 갖게 된다.

6. UI 또는 앱 복제로 시작합시다.

Flutter는 무엇보다 UI Toolkit이다. Flutter를 사용해서 UI개발은 좋은 계기가 된다. 이는 Flutter 위젯 트리에 대한 이해 및 Flutter가 어떻게 위젯을 렌더링하는지 알게 된다.

7. 디버깅하는 법을 배웁시다.

가급적 print문은 사용하지 말자. print를 사용하는 대신 logs를 사용하거나 breadpoints를 통해서 디버깅을 하자. 그래야 개발한 앱 및 사용하고 있는 라이브러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8. 적어도 하나의 패키지를 pub.dev에 등록합시다.

이를 통해서 자신이 개발한 패키지에 대한 배포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다른 패키지들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패키지 배포를 통해서 변경된 사항에 대한 버전 관리 및 이슈에 대한 처리법을 익힐 수 있다.

9. 의견

위의 항목들은 단지 Flutter에만 국한된 내용이 아닙니다. Flutter, Unity3D, Native Android, React등 어떠한 플랫폼을 통해서 개발을 하던 최소한 위의 내용을 숙지하고 개발한다면 나도 모르는 순간에 한단계 성장한 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Do not be coder, Better be developer!!